대출
버팀목 전세대출 vs 일반 전세대출|차이점과 선택 기준 완벽 비교
Rose로즈ㅡ
2025. 4. 1. 16:16
은행에서 전세대출 신청하려다 ‘버팀목 쓰실래요?’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버팀목이 뭐지?”, “일반 전세대출이랑 뭐가 달라요?”
모르고 신청하면 수백만 원 이자 손해 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버팀목 전세대출과 일반 전세대출의 핵심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2025년 기준으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두 상품의 정체부터 정리
항목 | 버팀목 전세대출 | 일반 전세대출 |
제공 기관 | 주택도시기금 (정부지원) | 시중은행 자체 상품 |
금리 | 연 1.2% ~ 2.4% | 연 3.5% ~ 5.0% |
대상자 제한 | 소득·나이 등 조건 있음 | 누구나 가능 |
보증기관 | HUG 전용 | HUG 또는 SGI 선택 |
이자 지원 | 정부 보조 있음 | 없음 |
신청 채널 | 오프라인(은행 방문) 중심 | 모바일 신청 가능 |
2. 버팀목 전세대출, 이런 분께 유리합니다
지원 조건(2025년 기준)
- 연소득: 단독세대주 3천만 원 이하 / 부부합산 5천만 원 이하
- 주택 보증금: 수도권 3억 이하 / 지방 2억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1억 2천만 원
- 연령: 만 19세 이상 무주택 세대주
TIP: 청년/신혼부부일수록 금리는 더 내려갑니다
예) 청년 단독 세대주 → 연 1.2%까지 가능
3. 일반 전세대출, 이런 분께 유리합니다
특징
- 소득, 나이 제한 없음
- 보증금이 높거나 소득이 많을 경우 대출 한도↑
- SGI 보증 활용 시 1억 이상 전세 가능
- 모바일로 간편 신청 → 실행 속도 빠름
단점: 금리가 높고, 정부지원 없음
예) 연 3.8% 수준 + 보증료 발생
4. 실제 이자 차이 비교 (1억 원, 2년 기준)
상품금리 | 월 이자 | 2년 총 이자 |
버팀목 (연 1.5%) | 약 125,000원 | 약 300만 원 |
일반대출 (연 3.8%) | 약 316,000원 | 약 760만 원 |
→ 같은 조건에서 약 460만 원 차이 발생!
→ 지원 대상에 해당된다면 무조건 버팀목이 유리
5.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
버팀목 전세대출 추천
- 무주택 청년,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 낮은 이자 우선, 실행 속도 여유 있음
일반 전세대출 추천
- 고소득 직장인, 자영업자
- 고가 전세 거주 (3억 초과)
- 소득 조건 미충족 or 긴급 실행 필요
- 비대면 간편 신청을 원하는 경우
6. 마무리하며
두 상품의 차이는 간단합니다.
- 버팀목은 조건 까다롭지만 이자가 낮고 혜택 많고,
- 일반 전세대출은 조건 자유롭지만 금리가 높고 비용 부담 큼.
내가 정부지원 대상인지 꼭 확인하고,
해당된다면 버팀목 전세대출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세요.
[전세대출 조건 비교 바로가기]
관련 글 추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