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세금

기한후 신고로 세금 감면받는 방법|늦었어도 절세할 수 있습니다

Rose로즈ㅡ 2025. 4. 7. 16:10

 

“5월 신고 놓쳤는데, 이제 끝난 거 아닌가요?”
“기한 후 신고하면 벌금 얼마나 나올까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놓쳤다면
‘기한 후 신고’를 통해 지금이라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늦은 만큼 가산세가 붙고, 환급도 제한될 수 있지만
정확히 신고하고 요건을 충족하면 세금 감면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기한 후 신고 개념과 세금 감면을 위한 실전 방법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 기한 후 신고란?

종합소득세 법정 신고기한(매년 5월 1일~5월 31일)을 놓친 후
자발적으로 신고하는 것

항목 설명
신고 대상 3.3% 프리랜서, 사업자, 기타소득자 등
신고 가능 기한 통상 5년 이내까지 가능
신고 방법 홈택스 → [종합소득세 신고] → 정기신고 메뉴 동일 사용
적용 방식 세금은 그대로 납부 + 가산세 부과 가능

✅ 기한후 신고 시 부과되는 가산세 종류

종류 내용 최대 부과율  
무신고 가산세 세액 × 20%  
납부불성실 가산세 미납세액 × 1일 0.022% (연 8.03% 수준)  
합계 예시 100만 원 미신고 시 → 최대 120만 원 + 지연이자  

✅ 세금 감면받는 3가지 전략

자발적 기한후 신고 → 가산세 감면 가능

조건 효과
국세청 통보 전, 먼저 신고 무신고 가산세 50% 감면 가능
성실하게 전액 납부 납부불성실 가산세도 일부 감면 가능
신고 내용에 허위 없음 감면 승인 가능성 ↑

TIP: 통보(예: 세무조사 예고, 고지서 발송) 전에 먼저 신고해야 효과 있음


신고와 함께 ‘가산세 감면 신청서’ 제출

  • 홈택스에서 기한후 신고 시
    ‘가산세 감면 신청’ 체크박스가 함께 등장
  • 사유 입력란에 “자발적 신고 및 성실 납부 목적” 명시

분할납부 신청으로 체납 방지

  • 고액세액인 경우 60일까지 분납 가능
  • 미납 상태를 줄이면 추가 이자·불이익 방지

✅ 기한후 신고 절차 (홈택스 기준)

  1. 홈택스 접속 → 로그인
  2.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클릭
  3. “정기신고 작성” 메뉴 선택 (정기신고와 동일 경로)
  4. 수입/경비/공제 항목 입력
  5. 납부세액 확인 후 제출
  6. ‘가산세 감면 신청’ 항목 체크 후 제출 완료

홈택스가 자동으로 신고기한 초과 여부를 인식하고
‘기한 후 신고’로 자동 처리합니다.


✅ 마무리 요약

항목 핵심 정리
기한후 신고란? 법정기한(5월)을 넘겨 신고하는 절차
불이익은? 가산세(최대 20%) + 지연이자
감면 조건 자발적 신고 + 국세청 통보 전 + 전액 납부
감면 방법 ‘가산세 감면 신청’ 체크 + 성실 신고 사유 기재
유리한 팁 세무조사 전 선제적 신고가 핵심!

기한후 신고는 늦었지만 끝이 아닙니다.
오히려 먼저 신고하면
벌금도 줄고, 신뢰도도 올라갑니다.


✅ 관련 글 추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