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HUG vs SGI 전세대출 보증, 뭐가 다를까?|2025년 완전 비교
Rose로즈ㅡ
2025. 3. 31. 19:00
전세대출 신청하려는데, 보증기관이 둘?
은행에서 “HUG로 진행할지, SGI로 할지 선택하세요”라고 묻는 순간…
뭘 선택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오늘은 HUG(주택도시보증공사)와 SGI(서울보증보험),
전세대출 보증기관 두 곳의 차이점을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한도, 금리, 승인 기준, 속도까지 실전 비교 들어갑니다.
1. 보증기관이란?
전세대출은 은행이 100% 책임지는 구조가 아닙니다.
보증기관이 대출금을 보증해주고, 은행은 그 보증을 바탕으로 돈을 빌려줍니다.
즉, 보증기관 = 대출의 실질적 보증인이며,
보증 없이는 대출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2. HUG vs SGI 한눈에 비교
항목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 SGI(서울보증보험) |
설립 성격 | 공공기관 | 민간 보험사 |
한도 기준 | 보증금 80~90% | 최대 보증금 100% |
소득 요건 | 연소득 제한 있음 (7천만 원 이하 등) | 없음 (누구나 가능) |
신청 가능 은행 | 일부 은행 제한 | 대부분의 시중은행 |
금리 | 낮음 (정부지원 상품 연계) | 약간 높음 (0.1~0.3%) |
심사 속도 | 느림 (3~5일 이상) | 빠름 (1~2일 가능) |
청년/신혼부부 지원 | 적극적 | 해당 없음 |
3. 어떤 상황에서 어떤 보증기관이 유리할까?
▶ HUG 추천 상황
- 연소득이 낮은 청년 or 신혼부부
- 정부지원 상품(버팀목, 청년 전세자금대출 등)을 이용할 경우
- 낮은 금리를 최우선으로 할 경우
- 시간 여유가 있는 경우
▶ SGI 추천 상황
- 소득이 높아 HUG 요건을 못 맞출 때
- 빠르게 대출 실행이 필요한 경우
- 전세보증금이 높은 고가 주택에 거주할 때
- 정부상품이 아닌 일반 전세대출을 받을 경우
4. 보증기관 선택이 대출 조건에 미치는 영향
요소 | 영향 |
대출 가능 여부 | HUG는 소득·신혼 여부 기준 있음 → 탈락 가능 |
대출 금리 | HUG 이용 시 정부지원 상품 연계 가능 → 금리 낮음 |
대출 한도 | SGI는 100% 보증 가능 → 보증금 전액 대출 가능 |
심사 속도 | SGI가 빠름 → 긴급한 이사 일정에 유리 |
5. 보증료 차이도 있다
- HUG: 연 0.05~0.2% 수준 (정부 보조 포함 시 무료인 경우도 있음)
- SGI: 연 0.128~0.388% 수준 (신용도에 따라 차등)
→ 예: 1억 전세대출 시, HUG는 약 5~20만 원,
SGI는 13~39만 원 수준의 보증료가 발생
6. 마무리하며
두 기관 다 장단점이 분명합니다.
- HUG는 금리 저렴, 대신 조건이 까다롭고 느림
- SGI는 유연하고 빠르지만, 금리가 다소 높고 보증료도 비쌈
핵심은 “내 상황에 맞는 보증기관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내 조건으로 전세대출 가능 여부 확인하기]
→ HUG/SGI 중 나에게 맞는 기관 자동 추천
관련 글 추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