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고 집 구하려는데, 전세대출 어디서부터 알아봐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은행에 갔더니 ‘버팀목’, ‘우대금리’, ‘보증기관’… 말도 너무 어렵죠?
2025년 기준,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대출 조건과 혜택은 정말 다양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정부지원 ‘버팀목 전세대출’ 조건과 금리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1. 신혼부부 전세대출이란?
정부에서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출입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최대 3억 원까지 저금리로 대출이 가능해요.
2. 기본 조건 (2025년 기준)
항목 | 조건 |
혼인 기간 | 혼인 신고일 기준 7년 이내 or 3개월 이내 예정자 |
무주택 여부 | 본인 및 배우자 모두 무주택 |
세대주 요건 | 신청일 기준 세대주 (예비 세대주 포함) |
연소득 |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 (자녀 1명 이상은 7천만 원 이하) |
순자산가액 | 3.45억 원 이하 |
보증금 한도 | 수도권 3억 / 지방 2억 이하 |
대출 한도 | 최대 1억 2천만 원 (보증금의 80~90%) |
TIP: 결혼 예정자는 혼인 예정 증빙서류(청첩장, 예식장 계약서 등)를 제출하면 신청 가능해요.
3. 우대금리 혜택 총정리
기본금리: 연 1.2% ~ 2.4%
여기에 아래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1.2% p까지 추가 할인 가능합니다!
항목 | 우대금리 |
자녀 수 | 자녀 1명: 0.3% / 2명: 0.5% / 다자녀: 0.7% |
청약저축 가입기간 | 5년 이상: 0.3% / 10년 이상: 0.4% / 15년 이상: 0.5% |
전자계약 체결 시 | 0.1% |
30% 이하만 대출 시 | 0.1% |
40% 이상 중도상환 시 | 0.2% |
예시:
자녀 1명 + 청약저축 10년 이상 + 전자계약 이용 →
총 0.8% 우대 가능 → 최종금리 약 1.4%
4. 일반 전세대출과 비교해 보면?
항목 | 버팀목(정부지원) | 일반 전세대출 |
금리 | 연 1.2 ~ 2.4% | 연 3.5 ~ 5.0% |
소득 조건 | 제한 있음 | 없음 |
대출 실행 | 오프라인 은행 방문 필수 | 모바일 신청 가능 |
보증기관 | HUG 고정 | HUG 또는 SGI 선택 가능 |
→ 조건만 맞으면 무조건 버팀목이 유리합니다.
5. 실제 이자 비교 (1억 원, 2년 기준)
상품 | 월 이자 | 2년 총 이자 |
버팀목 (연 1.5%) | 약 125,000원 | 약 300만 원 |
일반 대출 (연 3.8%) | 약 316,000원 | 약 760만 원 |
무려 460만 원 차이!
우대금리까지 적용되면 차이는 더 벌어집니다.
6. 신청 방법
- 은행 영업점 방문 (우리, 국민, 신한, 농협 등)
- 전세 계약서 및 혼인 관련 서류 제출
- 주택도시기금 → 보증서 발급
- 대출 실행
주의사항:
계약서상 전입 예정일/잔금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내 조건으로 신혼부부 전세대출 가능한지 확인하기]
→ HUG 보증 기준, 우대금리 포함 시뮬레이션 가능
관련 글 추천
마무리하며
신혼부부에게 주거는 ‘비용’이 아니라 삶의 시작점입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버팀목 전세대출은 무조건 챙겨야 할 혜택이고,
우대금리까지 꼼꼼히 챙기면 수백만 원 절약할 수 있어요.
오늘 당장, 내 조건으로 한 번 계산해보세요.
'대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최초 특별공급 조건과 청약 전략|2025년 내 집 마련의 첫걸음 (0) | 2025.04.01 |
---|---|
신혼부부 보금자리론 조건 총정리|2025년 내 집 마련 꿀팁 (0) | 2025.04.01 |
버팀목 전세대출 vs 일반 전세대출|차이점과 선택 기준 완벽 비교 (0) | 2025.04.01 |
HUG vs SGI 전세대출 보증, 뭐가 다를까?|2025년 완전 비교 (0) | 2025.03.31 |
전세대출 이자 vs 매매 대출 이자|2025년 실전 비교로 알아보자 (0) | 2025.03.31 |